Pages: 43 / 90
분류번호 | 제목 | 국문제목 | 저자 | |
---|---|---|---|---|
1 | GA0249 | Zehn Jahre im Leben von hundert gewöhnlichen Menschen" zu Feng Jicais Projekt der literarischen Dokumentation der Kulturrevolution | 펑지카이(馮驥才1942-)의<백명의 십년생활(一百個人的十年)> | Tschanz, Dietrich |
2 | ECA0562 | Legal Specialists and Judicial Administration in Late Imperial China, 1651–1911 | 후기 중화제국 시기 법률 전문가와 사법 행정, 1651-1911 | Li, Chen |
3 | GA0250 | Text-"Fälschungen" im kaiserlichen China : das Beispiel des Heguanzi | 고대중국에서 문장의 “위조”: 할관자(鶡冠子)의 예 | Vittinghof, Helmolt |
4 | ECA0563 | Daoist Priests and Imperial Sacrifices in Late Imperial China: The Case of the Imperial Music Office (Shenye Guan), 1379–1743 | 후기 중화제국 시기 도교 도사들과 황제 제사: 황제 음악 관청인 신악관(神樂觀)의 경우, 1379-1743 | Liu, Yonghua |
5 | ECA0564 | Local Politics and the Canonization of a God: Lord Yang (Yang fujun) in Late Qing Wenzhou (1840–67) | 지역 정치와 신의 시성(諡聖): 청말 온주(溫州)의 양부군(楊府君) 신앙 | Lo, Roger Shih-Chieh |
6 | ECA0565 | Koxinga’s Conquest of Taiwan in Global History: Reflections on the Occasion of the 350th Anniversary | 지구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성공(코싱가)의 타이완 정복: 350주년을 즈음한 회고 | Andrade, Tonio |
7 | ECA0566 | Patrimonial Bonds: Daughters, Fathers, and Power in Tianyuhua | 세습적인 유대관계: 『천우화(天雨花)』 속에서의 딸, 아버지, 그리고 권력 | Epstein, Maram |
8 | ECA0567 | A Jiangnan Identity in North China: The Making of Jining Urban Culture in the Late Imperial Period | 북부 중국에서의 강남 정체성: 명청시기 제녕(濟寧) 도시 문화 만들기 | Sun, Jinghao |
9 | ECA0568 | The Literati Rewriting of China in the Qianlong-Jiaqing Transition | 건륭-가경 교체기 지식인의 중국에 대한 다시 쓰기 | Mosca, Matthew W. |
10 | ECA0569 | The Punishment of Examination Riots in the Early to Mid-Qing Period | 청대 초기에서 중기 시기 수험 거부 폭동에 대한 처벌 | Han, Seunghyun |
11 | ECA0570 | Between State Power and Popular Desire: Tobacco in Pre-Conquest Manchuria, 1600-1644 | 국가 권력과 대중들의 욕구 사이: 청나라 입관이전 만주지역의 담배, 1600-1644 | Benedict, Carol |
12 | ECA0571 | Between Passion and Repression: Medical Views of Demon Dreams, Demonic Fetuses, and Female Sexual Madness in Late Imperial China | 욕구와 억압 사이: 후기 중화제국 시기 악령의 꿈, 악령의 태아, 그리고 여성들의 성적 광기 | Chen, Hsiu-fen |
13 | ECA0572 | Body, Gender, and Disease: The Female Breast in Late Imperial Chinese Medicine | 몸, 젠더, 그리고 질병: 명청시기 의학에 있어서 여성의 가슴 | Wu, Yi-li |
14 | ECA0573 | The Cultured Nature of Imperial Foraging in Manchuria | 만주지역에서의 황제 수렵채집의 문화화된 자연 | Bello, David |
15 | ECA0574 | “Penitence Silver” and the Politics of Punishment in the Qianlong Reign (1736–1796) | 건륭시기 “회개(속죄) 은”과 처벌의 정치학 (1736-1796) | Zhang, Ting |
16 | ECA0575 | Money, Economy, and Polity in the Daoguang-Era Paper Currency Debates | 도광제 시기 지폐 논쟁 속의 돈, 경제 그리고 정치 | Rowe, William |
17 | ECA0576 | Abortion in Late Imperial China: Routine Birth Control or Crisis Intervention? | 후기 중화제국 시기의 유산(流産)에 대한 의학적 인식: 정례적인 산아 조절 혹은 위기 개입? | Sommer, Matthew H. |
18 | ECA0577 | On Hearing the Donkey's Bray: Friendship, Ritual, and Social Convention in Medieval China | 나귀의 울음소리를 듣기: 중세 중국의 우정, 의례, 사회 관습 | Chen, Jack W. |
19 | ECA0578 | Death and Immortality in Early Medieval Chinese Poetry: Cao Zhi and Ruan Ji | 중국 중세 초기 시가에서의 죽음과 불멸: 조식(曹植)과 완적(阮籍) | Wu, Fusheng |
20 | ECA0579 | Du Fu and the Failure of Lyric | 두보(杜甫)와 운문의 실패 | Rouzer, Paul |
21 | ECA0580 | A New Candidate for Authorship of the Jin Ping Mei: Bai Yue 白悅 (1499-1551) | 새로운 『금병매(金瓶梅)』추정 저자: 백열(白悅, 1499-1551) | Xu, Yongming |
22 | ECA0581 | Reading The Peony Pavilion with Todorov's "Fantastic" | 토도로프의 "환상성"으로 읽은 『목란정(牡丹亭)』 | Wei, Shu-chu |
23 | ECA0582 | Allusion and Self-Inscription in Wang Duanshu's Poetry | 왕단숙(王端淑) 시(詩)에서의 암시와 자기 각인 | Yang, Haihong |
24 | ECA0583 | Place of the Self: Pictorial Autobiography in the Eighteenth Century | 자아의 장소들: 18세기의 삽화 자전(自傳) | De Weerdt, Hilde |
25 | ECA0584 | Translation and Alleged Plagiarism of Russian Literature in Republican China | 중화민국 시기 러시아 문학의 번역과 표절 의혹 | Gamsa, Mark |
26 | ECA0585 | Unmasking Fengliu 風流 in Urban Chang'an: Rereading Beili zhi 北里志 (Anecdotes from the Northern Ward) | 도회지 장안의 풍류의 실체를 드러내기: 『북리지(北里志)』를 다시 읽다 | Feng, Linda Rui |
27 | ECA0586 | Cultural Identity and Vocal Expression: The Southern School Tradition of Poetry Chanting in Contemporary Guangzhou | 문화정체성과 음성 예술: 현대 광저우(廣州)의 시(詩) 음송(吟誦) 남파(南派) | Lam, Lap |
28 | ECA0587 | “The Broken Trap”: Reading and Interpreting Shijing Mao 104 during the Imperial Era | 「폐구(敝笱)」: 전근대 시기 『모시(毛詩)』 제104편의 독해와 해석 | Milburn, Olivia |
29 | ECA0588 | Body, Sentiment, and Voice in Ming Self-Encomia (Zizan) | 명대(明代) 자찬(自贊)에서의 신체, 감성, 화자(話者) | Nakatani, Hajime |
30 | ECA0589 | Yuan Mei 袁枚 (1716-1798) and a Different 'Elegant Gathering' | 원매(袁枚, 1716-1798)와 또 다른 '고상한 모임'(雅集) | Riegel, Jeffrey |
31 | ECA0590 | Simulation of Love and Debasement of the Courtesan in Flowers of Shanghai | 『해상화열전(海上花列傳)』에서의 가장된 사랑과 기녀의 타락 | Wang, Ying |
32 | ECA0591 | A Music for Baihua: Lu Xun’s Wild Grass and “A Good Story” | 백화(白話)를 위한 음악: 루쉰(魯迅)의 『야초(野草)』와 「좋은 이야기(好的故事)」 | Admussen, Nick |
33 | ECA0592 | Garlic and Vinegar: The Narrative Significance of Verse in "The Pearl Shirt Reencountered" | 마늘(蒜)과 식초(酪): 「장흥가중회진주삼(蔣興哥重會珍珠衫)」에서 운문의 서사적 중요성 | Chun, Mei |
34 | ECA0593 | Knowing Sound: Poetry and “Refinement” in Early Medieval China | 지음(知音): 중국 중세 초기의 시와 "정(精)" | Goh, Meow Hui |
35 | ECA0594 | Fragrant Rice and Green Paulownia: Notes on a Couple in Du Fu's "Autumn Deditations" | 향도(香稻)와 벽오(碧梧): 두보(杜甫)의 「추흥팔수(秋興八首)」연구 | Hsieh, Daniel |
36 | ECA0595 | Life's Unattainable Goal and Actualized Meaning: Existential Anxiety and Zen Tranquility in Gao Xingjian's Soul Mountain | 삶의 이룰 수 없는 목적과 실현된 의미: 가오싱젠(高行健)의 『영산(靈山)』에서의 실존적 불안과 선(禪)적 고요 | Jian, Ming |
37 | ECA0596 | Message from the Dead in "Nanke Taishou zhuan" | 『남가태수전(南柯太守傳)』에서 사자(死者) 로부터의 메시지 | Reed, Carrie |
38 | ECA0597 | The Origin of Posthumous Names in "Shih-chi" 14 | 『사기(史記)』「십이제후연표(十二諸侯年表)」의 시호(諡號)의 기원 | Van Ess, Hans |
39 | ECA0598 | How Modern Was Early Modern Chinese Literature? On the Origins of Jindai wenxue | 중국 초기 근대 문학은 얼마나 근대적인가? "근대문학(近代文學)"의 기원 고찰 | Wang, David Der-Wei |
40 | ECA0599 | Reading for Conspiracy: Kang Youwei's Restoration | 음모론적 독해: 강유위(康有爲)가 생각한 복원 | Saussy, Haun |
41 | ECA0600 | Toward a Poetics of Noise: From Hu Shi to Hsia Yü | 소음(騷音)의 시학을 향하여: 후스(胡適)에서 샤위(夏宇)까지 | Yeh, Michelle |
42 | ECA0601 | Hidden in Plain Sight? The Art of Hiding in Chinese Poetry | 잘 보이는 곳에 숨겨진? 중국 시에서 숨기(隱)의 기술 | Yu, Pauline |
43 | ECA0602 | Idiotic Irony in the "Zhuangzi" | 『장자(莊子)』에서 바보의 역설 | Moeller, Hans-Georg |
44 | ECA0603 | Apocrypha in Early Medieval Chinese Literature | 중국 중세 초기 문헌에서의 참위(讖緯) | Lu, Zongli |
45 | ECA0604 | "Key Words," Authorial Intents, and Interpretation: Sima Qian's Letter to Ren An | "키워드", 저자의 의도, 해석: 사마천의 「보임안서(報任安書)」 | Knechtges, David R. |
46 | ECA0605 | The Girl from Chang'an Walks by: Towards the Image of Women in the Tang Dynasty | 장안에서 온 아가씨가 걸어가네: 당대 여성의 이미지에 대하여 | Kubin, Wolfgang |
47 | ECA0606 | The Tang Poet Du Fu and the Song Dynasty Literati | 당 시인 두보와 송대의 문인 | Hartman, Charles |
48 | ECA0607 | The Making, Writing, and Testing of Decisions in the Tang Government: A Study of the Role of the Pan in the Literary Bureaucracy of Medieval China | 당(唐) 정부에서 결정의 입안(立案), 기술(記述) 및 검증(檢證): 중세 중국 문서 행정에서 "판(判)"의 역할 | Yang, Jidong |
49 | ECA0608 | A Reading of "Nuo" (Mao 301): Some English Translations of the "Book of Songs" Revisited | 「나(那)」(『모시(毛詩)』301)의 독해: 『시경(詩經)』 영문 번역본들의 재검토 | Chen, Zhi |
50 | ECA0609 | On the Circulation of Books during the Eleventh and Twelfth Centuries | 11-12세기 중국에서 책의 유통 | Egan, Ronald |
51 | ECA0610 | Private Emotion, Public Commemoration: Qian Shoupu's Poems of Mourning | 개인의 감정, 공공의 기념: 전수박(錢守璞)의 도망시(悼亡詩) | Fong, Grace S. |
52 | ECA0611 | Toward Better Shiji 史記 Reading: Two Scholars' Efforts to Elucidate the Text | 더 나은 『사기(史記)』독해를 위하여: 두 학자의 노력 | Galer, Scott W. |
53 | ECA0612 | The Revival of Classical-Style Poetry Writing: A Field Study of Poetry Societies in Guangzhou | 전통적 시작(詩作)의 재흥(再興): 광저우(廣州) 시사(詩社)의 현장 연구 | Lam, Lap |
54 | ECA0613 | Burning Incense at Night: A Reading of Wu Yueniang in "Jin Ping Mei" | 밤에 향을 피우다: 『금병매(金甁梅)』의 오월낭(吳月娘) 분석 | He, Juanjun |
55 | ECA0614 | Wang Anshi's "Mingfei qu" and the Poetics of Disagreement | 왕안석(王安石)의 「명비곡(明妃曲)」과 이의제기(異意提起)의 시학(詩學) | Yang Xiaoshan |
56 | ECA0615 | "A Person of the State" Composed a Poem: Lyrics of Praise and Blame in the "Huayang guo zhi" | "국인(國人)"이 시를 지었다: 『화양국지(華陽國志)』의 포폄시(褒貶詩) | Farmer, J. Michael |
57 | ECA0616 | Daoist Transcendence and Tang Literati Identities in "Records of Mysterious Anomalies" by Niu Sengru (780-848) | 우승유(牛僧孺, 780-848)의 『현괴록(玄怪錄)』에 나타난 도교적 초월과 당대(唐代) 문인의 정체성 | Chiang, Sing-chen Lydia |
58 | ECA0617 | A Reconsideration of Some Mysteries concerning Feng Menglong's Authorship | 풍몽룡(馮夢龍)의 저술의 수수께끼에 대한 재고찰 | Hsu, Pi-ching |
59 | ECA0618 | The Market for Letter Collections in Seventeenth-Century China | 17세기 중국의 편지모음집 시장(市場) | Pattinson, David |
60 | ECA0619 | Criss-Cross: Introducing Chiasmus in Old Chinese Literature | 중국 고대 문헌에서의 교차대구법 | McCraw, David |
61 | ECA0620 | Liu Kun, Lu Chen, and Their Writings in the Transition to the Eastern Jin | 동진(東晉) 전환기 유곤(劉琨)과 노심(盧諶)의 삶과 글 | Knechtges, David R. |
62 | ECA0621 | Cultural Destiny and Polygynous Love in Zou Tao's "Shanghai Dust" | 추도(鄒弢)의 『해상진천영(海上塵天影)』에서의 문화적 운명과 일부다처제적 사랑 | McMahon, Keith |
63 | ECA0622 | Chaos, Memory, and Genre: Anecdotal Recollections of the Taiping Rebellion | 혼란, 기억, 장르: 태평천국의 반란에 대한 일화적 기억들 | Huntington, Rania |
64 | ECA0623 | The Disappearance of the Simulated Oral Context and the Use of the Supernatural Realm in "Honglou meng" | 『홍루몽(紅樓夢)』에서 가상적 구술자의 소멸과 초자연적 영역의 채용 | Wang, Ying |
65 | ECA0624 | Inscribing a Sense of Self in Mother's Family: Hong Liangji's (1746-1809) Memoir and Poetry of Remembrance | 외가(外家)에 새겨진 자의식: 홍양길(洪亮吉, 1746-1809)의 『외가기문(外家紀聞)』과 기억의 시 | Fong, Grace S. |
66 | ECA0625 | Mnemonic Locations: The Housing of Personal Memory in Prose from the Ming and Qing | 기억의 장소들: 명청시기 산문에서 개인의 기억을 담기 | Kafalas, Philip |
67 | ECA0626 | The Ming History Inquisition in Personal Memoir and Public Memory | 개인 회고 속의 명사안(明史案)과 공적(公的) 기억 | Barr, Allan H. |
68 | ECA0627 | Gender and the Failure of Canonization: Anthologizing Women's Poetry in the Late Ming | 성차(性差)와 경전화(經傳化)의 실패: 명말의 여성 시선집(詩選集) 만들기 | Fong, Grace S. |
69 | ECA0628 | Rewriting a Recluse: The Early Biographers' Construction of Tao Yuanming | 은자(隱者) 만들기: 초기 전기 서술자들의 도연명(陶淵明) 상(像)의 구축 | Swartz, Wendy |
70 | ECA0629 | A Bloody Absence: Communist Narratology and the Literature of May Thirtieth | 피비린내 나는 부재(不在): 오삽운동(五卅運動)에 대한 공산주의자의 서사와 오삽(五卅) 문학 | Fried, Daniel |
71 | ECA0630 | Ritual and Gender in the "Tale of Li Wa" | 『이왜전(李娃傳)』에서의 의례와 성(性) | Tsai, S-C Kevin |
72 | ECA0631 | An Interpretation of the Term fu 賦 in Early Chinese Texts: From Poetic Form to Poetic Technique and Literary Genre | 중국 고대 문헌에서 부(賦)의 해석: 시적 형태로부터 시적 기술 및 문학 장르로의 변화 | Jia, Jinhua |
73 | ECA0632 | Fiction That Leads to Truth: "The Story of the Stone" as Skillful Means | 진리로 이끄는 허구: 능숙한 수단으로서의 「석두기(石頭記)」 | Bech, Lene |
74 | ECA0633 | Reading the "Daodejing": Ethics and Politics of the Rhetoric | 『도덕경(道德經)』을 읽다: 수사(修辭)의 윤리학과 정치학 | Yu, Anthony C. |
75 | ECA0634 | Impersonating China | 중국을 연기하다 | Wang, David Der-Wei |
76 | ECA0635 | The Age of Attribution: Or, How the "Honglou meng" Finally Acquired an Author | 저자 부여의 시대: 또는 『홍루몽(紅樓夢)』은 어떻게 마침내 저자를 갖게 되었는가 | Saussy, Haun |
77 | ECA0636 | Tales of the Chancellor(s): The Grand Scribe's Unfinished Business | 승상(들)의 이야기: 태사공(太史公)의 미완성 작업 | Nienhauser, William H. Jr. |
78 | EJA0066 | Rivalry, Triumph, Folly, Revenge: A Plot Line through "The Tale of Genji" | 경쟁, 승리, 어리석음, 복수: 「겐지 이야기(源氏物語)」를 관통하는 줄거리 | Tyler, Royall |
79 | EJA0067 | Forging Tradition for a Holy War: The "Hakkō Ichiu" Tower in Miyazaki and Japanese Wartime Ideology | 성전(聖戰)을 위한 전통의 창조: 미야자키(宮崎)의 '팔굉일우탑'과 일본의 전시 이데올로기 | Edwards, Walter |
80 | EJA0068 | Mongrel Modernism: Hayashi Fumiko's "Hōrōki" and Mass Culture | 잡종 모더니즘: 하야시 후미코(林芙美子)의 「방랑기(放浪記)」와 대중문화 | Gardner, William O. |
81 | EJA0069 | American Pressure for Financial Internationalization in Japan on the Eve of the Great Depression | 대공황 직전 일본의 금융국제화를 위한 미국의 압력 | Metzler, Mark |
82 | EJA0070 | Class and Gender in a Meiji Family Romance: Kikuchi Yūhō's Chikyōdai | 메이지기 가족로망스 속 계급과 젠더: 기쿠치 유호(菊池幽芳)의 「지쿄다이(乳姉妹)」 | Ito, Ken K. |
83 | EJA0071 | Waking the Dead: Fujiwara no Teika's Sotoba kuyō Poems | 죽은 자 깨우기: 후지와라노 데이카(藤原定家)의 소토바쿠요(卒塔婆供養) 시선(詩選) | Kamens, Edward |
84 | EKA0021 | Between Defector and Migrant: Identities and Strategies of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| 탈북자와 이주자 사이: 한국 내 북한 출신자의 정체성과 전략 | Chung, Byung-Ho |
85 | EKA0022 | Will South Korea Follow the German Experience? Democracy, the Migratory Process, and the Prospects for Permanent Immigration in Korea | 한국은 독일의 경험을 따라갈 것인가? 민주주의, 이주 과정, 그리고 한국 내 영주(永住) 이민을 보는 전망 | Lim, Timothy C. |
86 | EJA0072 | The Gender of Nationalism: Competing Masculinities in Meiji Japan | 내셔널리즘의 젠더: 메이지 일본의 경쟁하는 남성성들 | Karlin, Jason G. |
87 | EJA0073 | Nakano Shigeharu's "Goshaku no sake" | 나카노 시게하루(中野重治)의 「다섯 잔의 술(五勺の酒)」 | Auestad, Reiko Abe |
88 | EJA0074 | Images of Repose and Violence in Three Japanese Writers | 세 일본 작가의 작품 속 안식과 폭력의 이미지 | Tansman, Alan |
89 | EJA0075 | The Creation of the Edo Outcaste Order | 에도 하층민 질서의 탄생 | Groemer, Gerald |
90 | EJA0076 | Regional Diversity in Demographic and Family Patterns in Preindustrial Japan | 산업화 이전 시기 일본에서의 인구학적 지역다양성과 가족 유형 | Hayami, Akira, Kurosu, Satomi |
91 | EJA0077 | Saikaku and the Narrative Turnabout | 사이카쿠(西鶴)와 내러티브의 방향전환 | Johnson, Jeffrey |
92 | EJA0078 | Culture, Nationalism, and Sakaguchi Ango | 문화, 내셔널리즘, 그리고 사카구치 안고(坂口安吾) | Dorsey, James |
93 | EJA0079 | Memoirs of the Orient | 오리엔트의 추억 | Allison, Anne |
94 | EJA0080 | Building National Identity through Ethnicity: Ethnology in Wartime Japan and After | 민족성을 통한 국민 정체성 만들기: 전시기 및 그 이후의 일본 민족지 | Doak, Kevin M. |
95 | ECA0637 | From Caizi to Yingxiong: Imagining Masculinities in Two Qing Novels, "Yesou puyan" and "Sanfen meng quan zhuan" | 재자(才子)에서 영웅(英雄)으로: 청대 소설 『야수폭언(野叟曝言)』과 『삼분몽전전(三分夢全傳)』 | Huang, Martin W. |
96 | ECA0638 | The Misfortunes of Poetry Literary Inquisitions under Ch'in Kuei (1090-1155) | 진회(秦檜, 1090-1155)에 의한 문자옥(文字獄)의 비극 | Hartman, Charles |
97 | ECA0639 | "What Confucius Wouldn't Talk About": The Grotesque Body and Literati Identities in Yuan Mei's "Zi buyu" | "공자께서 언급하려 하지 않으신 것": 원매(袁枚)의 『자불어(子不語)』에서의 기괴한 신체와 문인 정체성 | Francis, Sing-chen Lydia |
98 | ECA0640 | Flowers in the Mirror, Moonlight on the Water: Images of a Deluded Mind | 거울 속의 꽃, 물 위의 달빛: 현혹된 마음의 이미지들 | Bech, Lene |
99 | ECA0641 | Picturing Judge Bao in Ming Shangtu xiawen Fiction | 상도하문(上圖下文) 소설 속에 그려진 포 판관(包判官) | St. Andre, James |
100 | ECA0642 | Bureaucrats, Sectarians, and the Descendants of Confucius | 관료, 분파주의자, 그리고 공자의 후손들 | Agnew, Christopher S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