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ages: 82 / 90
분류번호 | 제목 | 국문제목 | 저자 | |
---|---|---|---|---|
1 | ECA2472 | Challenging Official Propaganda? Public Opinion Leaders on Sina Weibo | 공식 프로파간다에 대한 도전? 시나 웨이보(新浪微博)의 대중 여론 선도자들 | Nip, Joyce Y. M., Fu, King-wa |
2 | ECA2473 | Attitudinal Differences within the Cultural Revolution Cohort: Effects of the Sent-down Experience | 문화대혁명 세대 내의 성향 차이: 하방(下放) 경험의 효과 | Harmel, Robert, Yeh, Yao-yuan |
3 | FA1125 | À propos de l'islam en Chine: provocations antireligieuses et attitudes anticléricales du XIXe siècle à nos jours | 중국에서의 이슬람에 관하여 : 19세기부터 현재까지 반종교적 도발과 반교권주의적 입장 | Allès, Elisabeth |
4 | FA1126 | La campagne antireligieuse de 1922 | 1922년 반종교주의 운동 | Bastid-Bruguière, Marianne |
5 | FA1127 | Désirés, raillés, corrigés : les bonzes dévoyés dans le roman en langue vulgaire du XVIe au XVIIIe siècle | 소망되는 것들, 조롱되는 것들, 교정되는 것들: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통속소설 속의 타락한 승려들 | Durand-Dastès, Vincent |
6 | FA1128 | Anatomie d'un discours anticlérical : le Shenbao, 1872-1878 | 반교권주의 담론의 해부학: <신보(申報)>, 1872년~1878년 | Goossaert, Vincent |
7 | FA1129 | Les « lamas » vus de Chine : et répulsion | 중국에서 본 <라마승>: 매혹과 배척 | Charleux, Isabelle |
8 | FA1130 | Le qigong au carrefour des « discours anti » : De l'anticléricalisme communiste au fondamentalisme du Falungong | <배척론>의 중심에 선 기공: 공산당의 반교권주의에서 팔륜공의 근본주의까지 | Palmer, David |
9 | FA1131 | Pour une comparaison anticléricalisme européen/anticléricalisme chinois | 유럽과 중국의 반교권주의에 대한 비교 연구를 위하여 | Bauberot, Jean |
10 | EJA0300 | The Korean war, Stalin's policy, and Japan | 한국전쟁, 스탈린의 정책, 그리고 일본 | Wada, Haruki |
11 | EJA0301 | The 'American boundary', provocation, and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| '미국의 범위', 도발, 그리고 한국전쟁 발발 | Park, Myunglim |
12 | EJA0302 | On the strategy and morality of American nuclear policy in Korea, 1950 to the present | 1950년부터 현재까지 미국의 한반도 핵정책의 전략과 도덕성에 대해 | Cumings, Bruce |
13 | EJA0303 | A survey: China and the Korean War | 개관: 중국과 한국전쟁 | Yasuda, Jun |
14 | EJA0304 | A survey: studies on the Korean War in Japan | 개관: 일본에서의 한국전쟁 연구 | Sakurai, Hiroshi |
15 | EJA0305 | Bureaucrats and villagers in Japan: Shimin and the crisis of the early 1930s | 일본의 관료와 촌민: 『시민』과 1930년대 초반의 위기 | Wilson, Sandra |
16 | FA1132 | La gestion des temples chinois au XIXe siècle : droit coutumier ou laisser-faire ? | 19세기 중국 사원의 운영: 관습법 또는 자유방임? | Goossaert, Vincent |
17 | FA1133 | Réguler la coutume par la coutume : Règles matrimoniales et divinité marieuse du Grand sanctuaire d'Izumo (Japon) | 관습으로 관습을 조정하기: 이즈모다이샤(出雲大社)에서의 결혼 규범과 매파(媒婆)의 신성함 | Butel, Jean-Michel |
18 | FA1134 | Quelles normes pour les Chinois musulmans (Hui) ? | 중국의 무슬림(회족)에게는 어떤 규범이? | Allès, Elisabeth |
19 | FA1135 | L'action de l'État chinois contre les « mauvaises coutumes » matrimoniales : la natolocalité chez les Zheyuanren du Guangxi | 부부생활의 <악습>에 대항하는 국가적 조치: 광서성의 저위엔런(蔗園人)의 민족적-지역적 정체성 | David, Béatrice |
20 | FA1136 | Rights in people, rights in land : concepts of customary property in late imperial China | 사람 속의 권리, 토지 속의 권리: 청조 후기 관습적 부동산 개념 | Mazumdar, Sucheta |
21 | FA1137 | Contra legem ou Para legem ? : La coutume de l'union matrimoniale de fait en droit civil japonais avant 1945 | 법률의 문언에 반하는 해석 또는 법률의 문언을 넘은 해석?: 1945년 이전 일본의 시민권 상의 결혼에 관한 관습 | Seizelet, Eric |
22 | FA1138 | Le droit coutumier comme phénomène d'acculturation bureaucratique au Japon et en Chine | 일본과 중국의 행정체계의 동화 현상으로서의 관습법 | Bourgon, Jérôme |
23 | FA1139 | Place des jardins dans la culture chinoise | 중국문화에서 정원의 중요성 | Lu Dong |
24 | FA1140 | Un grand jardin impérial chinois : le Yuanming yuan, jardin de la Clarté parfaite | 중국의 위대한 황실 정원: 원명원(圓明園), 완벽한 명괘함의 정원 | Chiu, Che Bing |
25 | FA1141 | Le système des ouvertures dans l'aménagement spatial du jardin chinois | 중국 정원의 공간배치에 있어서의 개방시스템 | Gournay, Antoine |
26 | FA1142 | Les jardins japonais : principes d'aménagement et évolution historique | 일본식 정원: 배치의 원리와 역사적 진화 | Berthier, François |
27 | FA1143 | Les plaisirs enchantés : célébration, fêtes jeux et joutes poétiques dans les jardins japonais de l'époque de Heian | 매혹적인 즐거움: 헤이안 시대 일본 정원에서의 축하연, 놀이 그리고 렌쿠(聯句) | Vieillard-Baron, Michel |
28 | FA1144 | L'appareillage de l'ici vers l'ailleurs dans les jardins japonais | 일본 정원: 차안에서 피안으로 | Berque, Augustin |
29 | FA1145 | La différence coréenne dans l'art des jardins extrême-oriental | 극동아시아 조경예술에서의 한국적 특성 | Park, Jungwook |
30 | FA1146 | Nature and ideology in Western descriptions of the chinese gardens | 중국 정원에 대한 서양의 묘사에서의 본질과 이데올로기 | Clunas, Craig |
31 | FA1147 | Le spectacle du jardin dans l'Asie de l'Est et l'Asie du Sud-Est : contrastes et similitudes |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정원에서의 스펙터클: 대조되는 점과 유사점 | Dumarçay, Jacques |
32 | FA1148 | Point de vue européen sur les jardins chinois | 중국 정원을 보는 유럽인의 관점 | Saint-Girons, Baldine |
33 | FA1149 | Searching for Spirit : Shen and Sacrifice in Warring States and Han Philosophy and Ritual | 신(神)을 찾아서: 전국시대 및 한대 철학과 의례에서의 신과 희생 | Sterckx, Roel |
34 | FA1150 | Intellectuels chinois contemporains en débat avec les esprits : Le cas de Liang Shuming (1893-1988) | 신(神)에 대한 논쟁에서의 현대 중국의 한 지식인: 량수밍(梁漱溟: 1893년~1988년)의 사례 | Meynard, Thierry |
35 | FA1151 | Âmes et animation du corps : La notion de shen dans la médecine chinoise antique | 육체의 영혼과 활력: 고대 중국 의학의 ‘신(神)’ 개념 | Despeux, Catherine |
36 | FA1152 | Humans, Spirits, and Sages in Chinese Late Antiquity : Ge Hong's Master Who Embraces Simplicity (Baopuzi) | 고대 중국 후기의 인간, 영혼 그리고 현인: 단순함을 껴안은 갈홍(葛洪)의 스승 『포박자(抱朴子)』 | Puett, Michael |
37 | FA1153 | L'accès à l'âme du monde : Définitions et approches à partir de l'œuvre de Zhang Zai (1020-1078) | 영적 세계로 들어가기: 장재(張載: 1020년~1077년)의 저작에 따른 정의 및 접근법 | Feuillas, Stéphane |
38 | FA1154 | Culture de soi et créativité : Réflexions sur la relation entre Mou Zongsan et le Confucianisme énergétique | 자기(自己)의 문화 그리고 창의성: 머우쭝산(牟宗三)과 주기론적 유학의 관계에 관한 일고 | Heubel, Fabian |
39 | FA1155 | Le Prince et le pêcheur : Remarques sur un cas de divination dans le Tchouang-tseu | 왕자와 어부: 『장자(莊子)』 속의 점술 사례에 대한 일고 | Méheust, Bertrand |
40 | FA1156 | Écriture et divination sous les Shang | 상대(商代)의 글쓰기와 점복 | Djamouri, Redouane |
41 | FA1157 | La rhétorique oraculaire dans les chroniques anciennes de la Chine : Une étude des discours prédictifs dans le Zuozhuan | 중국 고대 연대기 속의 신탁적 수사학: 『춘추좌씨전』 속의 예언적 담론에 관한 연구 | Kalinowski, Marc |
42 | FA1158 | Pratiques divinatoires, conjectures et critique rationaliste à l'époque des Royaumes Combattants | 전국시대 점복행위, 상황 그리고 합리론자들의 비판 | Levi, Jean |
43 | FA1159 | Divination and Confucian exegesis | 점복과 유교적 주석 | Henderson, John |
44 | FA1160 | Physicians and Diviners : The relation of divination to the medicine of the Huangdi neijing (inner canon of the Yellow Thearch) | 의사와 점성가: 『황제내경(黃帝內經)』에서의 점복과 의학과의 관계 | Harper, Donald |
45 | FA1161 | Severity and lenience : Divination and law in early imperial China | 엄격과 관대: 중국 초기제국시대의 점복과 법 | Csikszentmihalyi, Mark |
46 | FA1162 | Le rôle des schémas divinatoires dans la codification du droit chinois : À propos du Commentaire du code des Jin par Zhang Fei | 중국의 법의 법제화에서의 점성술적 도해의 역할: 장비(張斐)의 진(晉)나라 법에 대한 주석에 대하여 | Bourgon, Jérôme |
47 | FA1163 | Divination : traditions and controversies, Chinese and Greek | 점복: 전통과 논쟁, 중국과 그리스 | Lloyd, Geoffrey |
48 | FA1164 | The Difficulty of pleasure | 즐거움의 어려움 | Owen, Stephen |
49 | FA1165 | Le divertissement dans le bouddhisme chinois, entre ascèse et « moyens appropriés » | 중국 불교에서의 여흥, 금욕과 <방편(方便)> 사이 | Magnin, Paul |
50 | FA1166 | Des jeux d'enfants aux concerts célestes : les représentations du divertissement dans le Japon ancien | 천상의 음악회에서의 아이들의 놀이: 고대 일본의 여흥문화 | Pigeot, Jacqueline |
51 | FA1167 | Les joutes poétiques dans la Chine médiévale | 중세 중국에서 시(詩) 겨루기 | Martin, François |
52 | FA1168 | Un cas particulier d'estampes ludiques : les images en écriture de l'époque d'Edo | 유희적 판화의 특별한 사례: 에도시대의 모지에(文字繪) | Simon, Marianne |
53 | FA1169 | Les mathématiques peuvent-elles n'être que pur divertissement ? : Une analyse des tablettes votives de mathématiques à l'époque d'Edo | 수학은 단지 순전히 놀이뿐이었는가?: 에도시대 산가쿠(算額)에 관한 분석 | Horiuchi, Annick |
54 | FA1170 | Les vertus juridiques de l'exemple : Nature et fonction de la mise en exemple dans le droit de la Chine impériale | 판례의 법적 미덕: 중화제국의 법체계에서 판례의 본질과 기능 | Bourgon, Jérôme |
55 | FA1171 | Entre symptôme et précédent : Notes sur l'œuvre historique de Ouyang Xiu (1007-1072) | 전조(前兆)와 선례(先例) 사이: 구양수(歐陽脩: 1007년~1072년)의 사서(史書)에 대한 소고 | Lamouroux, Christian |
56 | ECA2474 | Barriers, Springboards and Benchmarks: China Conceptualizes the Pacific “Island Chains” | 방어선, 도약대, 벤치마크: 중국이 개념화한 태평양 “도련선(島鍊線)” | Erickson, Andrew S., Wuthnow, Joel |
57 | ECA2475 | Real-world Islands in a Social Media Sea: Nationalism and Censorship on Weibo during the 2012 Diaoyu/Senkaku Crisis | 소셜 미디어의 바다 속의 현실 섬: 2012년 댜오위다오/센카쿠열도 위기 당시 웨이보(微波) 상의 민족주의와 검열 | Cairns, Christopher , Carlson, Allen |
58 | ECA2476 | Exploring the Changing Role of Chinese Entities in WMD Proliferation | 대량 살상 무기 확산에서 중국 기업의 역할 변화 연구 | Salisbury, Daniel , Jones, Lucy |
59 | ECA2477 | Using Mao to Package Criminal Justice Discourse in 21st-century China | 21세기 중국의 형사 사법 담론을 포장하는 데 사용되는 마오쩌둥 | Trevaskes, Susan |
60 | ECA2478 | Beyond Local Protectionism: China's State–Business Relations in the Last Two Decades | 지방 보호주의 너머: 지난 20년간 중국의 국가-기업 관계 | Wang, Yuhua |
61 | FA1172 | L'art de la persuasion à l'époque des Royaumes Combattants (Ve-IIIe siècles avant J.-C.) | 전국시대 설득의 기술(기원전 5세기~3세기) | Levi, Jean |
62 | FA1173 | La valeur de l'exemple : « Le saint confucéen : de l'exemplarité à l'exemple » | 사례의 가치: <유교적 성인: 모범에서 사례로> | Cheng, Anne |
63 | FA1174 | Qu'est-ce qu'un problème dans la tradition mathématique de la Chine ancienne ? : Quelques indices glanés dans les commentaires rédigés entre le IIIe et le VIIe siècles au classique Han Les neuf chapitres sur les procédures mathématiques | 고대 중국의 수학 전통에서 문제란 무엇인가?: 한대 고전 『구장산술(九章算術)』에 관한 3세기에서 7세기까지 주석들에서 취합된 몇 가지 자료를 중심으로 | Chemla, Karine |
64 | FA1175 | Political concept behind an interplay of spatial « positions » | 공간적 <위치>의 상호작용 배후에 있는 정치적 개념 | Dorofeeva-Lichtman, Véra |
65 | FA1176 | La position d'une expression dans un texte : explorations diagrammatiques de la signification | 하나의 텍스트 속에 표현의 위치: 의미전달의 도해적 표현 | Lackner, Michael |
66 | FA1177 | La « position » dans le cérémonial d'État à la fin de l'Empire | 청조말기 국가의례에서 <위치> 문제 | Bastid-Bruguière, Marianne |
67 | FA1178 | Astrologie calendaire et calcul de position dans la Chine ancienne : Les mutations de l'hémérologie sexagésimale entre le IVe et le IIe siècles avant notre ère | 고대 중국의 천체의 위치계산과 역법: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 육십갑자의 이동 | Kalinowski, Marc |
68 | FA1179 | Positions et changements en mathématiques à partir de textes chinois des dynasties Han à Song-Yuan : Quelques remarques | 한대부터 송원대까지의 사료에서 관찰되는 수학의 위(位)와 변화: 몇 가지 고찰 | Chemla, Karine |
69 | FA1180 | Zhouyi and Philosophy of Wei (Positions) | 『주역(周易)』과 '위(位)'의 철학 | Cheng Chung-Ying |
70 | FA1181 | Le Shijing, de la citation à l'allusion : la disponibilité du sens | 『시경(詩經)』, 인용에서 암시로: 의미의 가변성 | Martin, François |
71 | FA1182 | Quelques exemples de détournement subversif de la citation dans la littérature classique chinoise | 중국 고전의 의미 변형적 인용의 몇 가지 사례 | Levi, Jean |
72 | FA1183 | Des mots, des animaux et des plantes | 말(言)들, 동물들 그리고 식물들 | Métailié, Georges |
73 | FA1184 | Les métamorphoses du mot : la citation de vers chinois comme sujet de composition de poèmes japonais, Waka | 말의 변환: 일본의 시창작에서 주제로서 한시 인용, 와카(和歌) | Vieillard-Baron, Michel |
74 | FA1185 | Citations on the Noh Stage | 노(能)공연에서의 인용 | Brazell, Karen |
75 | FA1186 | Citation et éveil : Quelques remarques à propos de l'emploi de la citation chez Zhang Zai | 인용과 깨달음: 장재(張載)의 인용문 사용에 관한 몇 가지 소고 | Lackner, Michael |
76 | FA1187 | Note à propos des citations implicites dans les textes techniques chinois | 중국의 기술서적에서의 암시적 인용에 관한 소고 | Métailié, Georges |
77 | FA1188 | L'emploi des signes numériques dans les inscriptions Shang | 상대(商代) 명문에서의 숫자 부호의 용법 | Djamouri, Redouane |
78 | FA1189 | Nombre et opération, chaîne et trame du réel mathématique : Essai sur le commentaire de Liu Hui sur Les neuf chapitres sur les procédures mathématiques | 실제 수학에서의 숫자, 연산, 연쇄 그리고 교직(交織): 유휘(劉徽)의 『구장산술주(九章算術註)』에 관한 소고 | Chemla, Karine |
79 | FA1190 | Large Numbers and Counting Rods | 대수(大數)와 산가지 | Volkov, Alexeï |
80 | FA1191 | Le rôle et le sens des nombres dans la cosmologie et l'alchimie taoïstes | 도교의 우주론과 단법에서의 숫자의 역할과 의미 | Robinet, Isabelle |
81 | FA1192 | Celestial Cycles and Mathematical Harmonies in the Huainanzi | 『회남자(淮南子)』 속의 천체운동과 수학적 조화 | Major, John |
82 | FA1193 | Aspects of Metrosophy and Metrology during the Han Period | 한대(漢代) 계측학과 사색적 계측학의 측면들 | Vogel, Hans Ulrich |
83 | FA1194 | Rectification des noms et langue graphique chinoises | 정명(正名)과 중국의 도형 문자언어 | Vandermeersch, Léon |
84 | FA1195 | Quelques aspects de la rectification des noms dans la pensée et la pratique politiques de la Chine ancienne | 고대 중국의 정치 사상과 실천에서 정명(正名)에 관한 몇 가지 측면들 | Levi, Jean |
85 | FA1196 | Théorie de la « rectification des dénominations » et réflexion linguistique chez Xunzi | <정명(正名)사상>과 순자(荀子)의 언어학적 성찰 | Djamouri, Redouane |
86 | FA1197 | La portée des événements : Réflexions néo-confucéennes sur la « rectification des noms » | 사건들의 결과: 『논어(論語)』의 13장, 「자로편(子路篇)」의 <정명(正名)>에 대한 신유학적 성찰 | Lackner, Michael |
87 | FA1198 | Les sons et les noms | 소리와 명사(名詞) | Martin, François |
88 | FA1199 | Cas d'adéquation entre noms et réalités mathématiques : deux exemples tirés de textes chinois anciens | 명사(名詞)와 수학적 실재 간 일치에 관한 사례: 고대 중국 문헌에서 찾은 두 가지 표본 | Chemla, Karine |
89 | FA0139 | Plantes et noms, plantes sans nom dans le Zhiwu Mingshi Tukao | 식물과 이름, 『식물명실도고(植物名實圖考)』의 이름 없는 식물들 | Métailié, Georges |
90 | FA0863 | Analogical Reasoning in Ancient China : some examples | 고대 중국의 유추적 논리: 몇 가지 사례 | Volkov, Alexeï |
91 | ECA2479 | Migration as Class-based Consumption: The Emigration of the Rich in Contemporary China | 계급 기반 소비로서의 이민: 현대 중국 부유층의 출이민 | Liu-Farrer, Gracia |
92 | ECA2480 | Local Politics, Local Citizenship? Socialized Governance in Contemporary China | 지역 정치, 지역 시민권? 현대 중국의 사회화된 거버넌스 | Woodman, Sophia |
93 | ECA2481 | Filial Daughters? Agency and Subjectivity of Rural Migrant Women in Shanghai | 효녀들? 상하이 농촌 이주 여성 노동자의 주권능동성과 주체성 | Shen, Yang |
94 | ECA2482 | Street Politics: Street Vendors and Urban Governance in China | 거리의 정치학: 중국의 노점과 도시 관리 | Hanser, Amy |
95 | ECA2483 | Using Religion to Resist Rural Dispossession: A Case Study of a Hui Muslim Community in North-west China | 토지 수탈에 대한 저항 도구로서의 종교: 중국 서북부 회족 무슬림 마을의 사례 | Luo, Qiangqiang, Andreas, Joel |
96 | ECA2484 | Building the New Socialist Countryside: Tracking Public Policy and Public Opinion Changes in China | 사회주의 신농촌 건설: 중국 공공 정책과 공공 여론의 변화 추적 | Stepan, Matthias , Han, Enze, Reeskens, Tim |
97 | ECA2485 | Street Politics in a Hybrid Regime: The Diffusion of Political Activism in Post-colonial Hong Kong | 혼합 정체(政體)하 거리의 정치학: 식민시기 이후 홍콩에서 정치적 행동주의의 확산 | Cheng, Edmund W. |
98 | ECA2486 | Moral Performance and Cultural Governance in China: The Compassionate Politics of Disasters | 중국의 도덕 퍼포먼스와 문화적 거버넌스: 재난 동정의 정치학 | Xu, Bin |
99 | ECA2487 | The Labour Law System, Capitalist Hegemony and Class Politics in China | 중국의 노동법, 자본주의 헤게모니, 계급 정치 | Hui, Elaine Sio-ieung |
100 | ECA2488 | The Making of a Frontier Landscape: The “Ten Views of Dongchuan” in Eighteenth-Century Southwest China | 변경 경관의 형성: 19세기 중국 서남부의 “동천십경(東川十景)” | Huang, Fei |